본문 바로가기
대기업 탈출 일지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3편 – 스스로 먹히기 위한 루틴 설계법

by 밍기루 2025. 5. 24.
반응형

꾸준함 없이도 꾸준해지는 시스템 만들기

나는 꾸준하지 않다.
새로운 건 엄청 몰입하지만, 흥미가 떨어지면 손도 안 댄다.

이걸 단점이라고 생각했었다.
“난 왜 꾸준함이 없을까?”
“왜 다들 1일 1포스팅 같은 걸 잘할까?”

그런데 지금은 다르게 생각한다.
나는 의지 대신 ‘구조’로 버티는 사람이었다.
그걸 인정하고 나니, 루틴이 시스템이 되었다.



1. 꾸준함 없는 사람에게 필요한 건 시스템이다
• 대부분의 루틴 실패는 ‘의지력’에 기대기 때문이다
• 나는 의지로 뭔가를 꾸준히 하지 못한다
• 대신 ‘한 번 세팅하면 자동으로 굴러가는 구조’는 만들 수 있다

예:
• 특정 시간 → 특정 장소 → 특정 툴 → 특정 작업
• 구조만 잡히면 뇌는 자동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



2. 루틴 설계의 핵심: ‘몰입 트리거’를 반복시켜라

몰입이 터졌던 조건을 다시 세팅한다:
• 시간: 오전 8~9시 or 퇴근 후 1시간
• 장소: 카페 or 조용한 사무실
• 도구: 노션 글쓰기 템플릿 + 타이머 (Pomofocus 등)
• 규칙: 시작 3분은 타이핑만, 수정은 금지

중요한 건 ‘심리적 저항 없는 진입’이다



3. 루틴은 ‘목표’가 아니라 ‘프레임워크’여야 한다

잘못된 루틴:
• “하루에 글 1편 꼭 써야지”
→ 실패하면 자책 → 작심삼일 반복

잘 설계된 루틴:
• “매주 3편을 쓰기 위한 시간블록을 확보하고,
그중 1편은 글쓰기 없이 리디자인만 해도 OK”

결과보다 ‘구조 안에서 머물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4. 나만의 루틴 시스템 예시

루틴 구성요소 방식
글쓰기 매주 토/일 오전 1편씩 SOP형 콘텐츠 작성
기획 평일 점심 or 출퇴근 시간에 글감 메모
리디자인 월 1회 인기 글 리라이트 & 링크 추가
확장 2주에 1개 전자책/템플릿 기획 문서 정리

→ 루틴은 ‘해야 할 일’이 아니라
‘머무를 구조’로 설계해야 지속된다


나는 더 이상
“꾸준하지 못한 나를 탓하지 않는다.”

나는 몰입형 인간이고,
의지가 아니라 구조와 시스템을 만들 줄 아는 사람이다.

이제는
나를 잘 아는 방식으로
꾸준한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되어가고 있다.



다음 편 예고

[4편] 글 하나가 브랜드가 되기까지 – 콘텐츠 시스템 만들기
→ 나의 생각을 어떻게 구조화해 자산으로 만들고, 수익과 신뢰로 연결하는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