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탈출 일지6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5편 – 조직 안에서 증명하고, 조직 밖으로 확장하는 법 사내 경험을 브랜딩 자산으로 바꾸는 전략직장에서는 성과를 내도 대부분 이렇게 끝난다.“팀 전체 덕분이에요.”“다 같이 고생했죠.”“자료는 공유 드릴게요.” (그리고 사라짐)그렇게 수많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가조직 안에서만 소모되고 사라진다.하지만 나는 다르게 보기로 했다.회사에서의 경험은 끝이 아니라, 콘텐츠의 원재료였다.⸻1. 회사 경험은 나만의 인사이트 덩어리다• 내가 해온 일은 단순한 업무가 아니라**“시스템 속에서 문제를 해결한 과정”**이다.• 여기엔 항상 사람, 제약, 리소스 부족, 의사결정의 흔적이 들어 있다.→ 이것들이 바로 실무형 콘텐츠의 핵심 소재다.⸻2. 내가 한 일을 브랜딩 언어로 바꾸는 법일반적인 표현 브랜딩형 표현“재고관리함” “자동화 기반 재고관리 체계를 개선함”“UAT 진행함”.. 2025. 5. 24.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4편 – 글 하나가 브랜드가 되기까지, 콘텐츠 시스템 만들기 생각 → 콘텐츠 → 신뢰 → 수익으로 연결하는 흐름블로그를 쓰기 시작했을 때,나는 단지 내 생각을 정리하고 싶었다.그런데 어느 순간 깨달았다.“내가 정리한 이 생각이 누군가에게는 솔루션이구나.”한 편의 글이 다른 글을 부르고,그 글들이 모여서‘이 사람은 이런 걸 말하는 사람’이라는 브랜드가 생긴다.콘텐츠 = 생각의 자산화이걸 시스템으로 만들면,브랜드와 수익은 따라온다.⸻1. 글은 ‘생각의 저장소’이자 ‘신뢰의 증거’다• 회사를 벗어나면 직함이 없다.대신 “쌓인 글”이 나의 커리어이자 소개서가 된다.• 꾸준히 축적된 글은 말한다:“이 사람은 이런 문제를 다루고,이런 방식으로 생각하며,이런 솔루션을 제시한다.”→ 브랜드란 결국 ‘사람들이 기억하는 태도’다.⸻2. 글을 브랜드화하는 3단계 콘텐츠 구조단계 구성.. 2025. 5. 24.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3편 – 스스로 먹히기 위한 루틴 설계법 꾸준함 없이도 꾸준해지는 시스템 만들기나는 꾸준하지 않다.새로운 건 엄청 몰입하지만, 흥미가 떨어지면 손도 안 댄다.이걸 단점이라고 생각했었다.“난 왜 꾸준함이 없을까?”“왜 다들 1일 1포스팅 같은 걸 잘할까?”그런데 지금은 다르게 생각한다.나는 의지 대신 ‘구조’로 버티는 사람이었다.그걸 인정하고 나니, 루틴이 시스템이 되었다.⸻1. 꾸준함 없는 사람에게 필요한 건 시스템이다• 대부분의 루틴 실패는 ‘의지력’에 기대기 때문이다• 나는 의지로 뭔가를 꾸준히 하지 못한다• 대신 ‘한 번 세팅하면 자동으로 굴러가는 구조’는 만들 수 있다예:• 특정 시간 → 특정 장소 → 특정 툴 → 특정 작업• 구조만 잡히면 뇌는 자동화된 행동을 하게 된다⸻2. 루틴 설계의 핵심: ‘몰입 트리거’를 반복시켜라몰입이 터졌던.. 2025. 5. 24.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2편 – 나는 왜 회사에만 있을 때 무기력해졌을까 몰입을 방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야, 내가 산다“회사에서 일 잘한다면서 왜 이렇게 무기력할까?”성과도 냈고, 인정도 받았는데왠지 모르게 기계처럼 살아가는 느낌이 들었다.이유는 간단했다.내가 ‘주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나는 누가 시켜서 움직일 땐 흥미를 잃고,내가 선택한 일에는 미친 듯이 몰입하는 사람이었다.이걸 깨닫는 데 1년 넘게 걸렸다.⸻1. 타율적 구조는 몰입을 막는다 – 시스템이 나를 지배할 때• 출근, 보고, 회의, 승인… 모든 것이 ‘정해진 흐름’• 내 선택이 없는 반복은 결국 ‘정체된 자극’으로 느껴진다• 성취감은 있지만, 내가 만든 결과라는 느낌은 없다→ 그래서 나는 성과를 내고도 허전함과 지루함을 느꼈다⸻2. 나는 원래 몰입형 인간이었다 – 조건만 맞으면 끝까지 간다• 돌이켜보면, 내가 .. 2025. 5. 24. [회사 없이도 먹히는 사람] 1편 – 조직 밖에서 통하는 사람의 3가지 조건 회사에 안 다녀도 ‘필요한 사람’이 되는 법직장 다니며 ‘잘하고 있다’는 말은 많이 들었지만,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회사를 떠나면 나는 뭐가 남지?”“나라는 사람이 진짜 시장에서 통하는가?”회사 안에서는평판, 성실함, 협업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하지만 회사 밖에서는 완전히 다른 기준이 작동한다.나는 지금,“조직에 의존하지 않아도 먹히는 사람”이 되고 싶다.그 시작은 ‘무엇이 진짜 먹히는가’를 아는 것이었다.⸻1. 자기만의 관점이 있는 사람 – 복붙이 아닌 생각을 하는 사람• 조직 내에서 일 잘하는 사람은 많다.하지만 조직 밖에서는 의견 있는 사람이 살아남는다.• 콘텐츠, 브랜딩, 협업, 심지어 대화에서도“그건 왜 그런데요?”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가 중요한 질문이다.• 자기만의 생각 → 콘텐츠.. 2025. 5. 24. “1년 차 대기업 사원이 느낀 허탈함, 그리고 나를 찾아가는 여정” 대기업에 입사한 지 어느덧 1년.이름만 대면 누구나 아는 회사였고, 신입사원 최초로 상도 받았다.프로젝트마다 성과도 내고, 주변에서 인정도 받았다.그때까지만 해도 “이렇게만 간다면 내 커리어는 탄탄대로겠지”라고 생각했다.하지만, 예상과 달랐다.작은 성과로는 성취감이 느껴지지 않았다.일은 금방 재미없어졌고, 내 안의 변화 욕구는 점점 커졌다.그러던 중, 사내 메일함에 ‘조직 경영팀 내부채용’ 공고가 도착했다.나는 주저 없이 지원했다.조직의 중추적인 역할을 맡아보고 싶었다.그리고 무엇보다도 서울 본사 근무.대학생 때부터 꿈꿔왔던 그 삶을 직접 살아볼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이것만큼은 확실하다.나는 늘 새로운 자극과 도전을 원한다.익숙함보단 낯선 무언가가 더 나를 살게 한다.하지만 솔직히 말해 아직도 나는.. 2025. 5.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