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운영자의 이야기

AI 이미지로 유튜브 쇼츠 10개 만들고 느낀 점 (실전 후기)

by 밍기루 2025. 5. 7.
반응형

최근에 AI 이미지 생성 툴과 영상 편집 툴을 조합해서
‘나만의 룩북 쇼츠 시리즈’를 직접 만들어봤어요.
모델은 제 반려견 ‘나나’였고,
총 10개의 쇼츠 영상을 제작해 유튜브에 올려봤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촬영도, 목소리도 없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게 놀라웠고
생각보다 반응도 꽤 괜찮았어요.



1. 사용한 툴 조합

제가 사용한 툴은 크게 3가지예요:
• ChatGPT + DALL·E
: 룩북 스타일의 강아지 이미지를 프롬프트로 생성
• Kling.AI
: 생성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짧은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도구
• CapCut / 유튜브 편집기
: 최종 쇼츠 영상에 음악, 텍스트 추가 (선택사항)

한마디로, 아이디어만 있으면 바로 영상이 나오는 구조였어요.



2. 영상은 이렇게 구성했어요
• 한 영상당 5초
• 1개의 이미지 or 스타일마다 1개 영상
• 총 10개의 스타일 → 10개의 쇼츠 영상
• 배경음악은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에서 무료로 사용
• 썸네일은 AI 이미지 중 가장 감각적인 컷을 사용

하루에 2~3개씩 업로드하면서 꾸준히 반응을 봤습니다.



3. 반응은 어땠을까?
• 평균 조회수: 300~800회 사이
• 가장 높은 조회수: 2,300회
• 댓글: “귀엽다”, “이거 어떻게 만들었어요?” 등
• 조회수보다 중요한 건 저장 수와 공유 수 → 확실히 높았어요!

특히 강아지 룩북, 감성 콘셉트는 쇼츠와 잘 어울리더라고요.



4. 느낀 점과 개선 포인트

좋았던 점
• 시간 소요: 기획~업로드까지 1개당 15분 이내
• 콘텐츠 제작에 부담이 없음
• 틈새 시간 활용으로 꾸준한 제작 가능
• 블로그 글이나 SNS와도 연계 가능

아쉬웠던 점
• Kling.AI의 영상 길이가 짧고 커스터마이징이 부족
• AI 이미지가 완벽히 통일되지 않아 스타일 통일성 이슈
• 쇼츠 제목과 해시태그가 조회수에 꽤 큰 영향을 줌



5. 다음에는 이렇게 해보려 해요
• 같은 주제로 10개를 한 시리즈로 묶는 형식 실험
• 제목에 ‘반려견 룩북’, ‘AI 영상’, ‘OOTD’ 키워드 삽입
• 썸네일도 일관된 프레임 + 글자 넣기로 브랜드화
• 블로그 글과 연동해서 유입도 같이 유도



마무리하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촬영 없이도 꾸준히 영상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신했어요.
무엇보다 제작이 재밌고, 영상 하나 올릴 때마다 뿌듯함이 컸습니다.

혹시 영상 콘텐츠에 도전해보고 싶은데 방법을 몰랐던 분이라면,
AI 이미지 기반 쇼츠 시리즈, 꼭 한번 시도해보시길 추천드려요.



추천 태그 (같이 활용하세요)
• AI영상제작
• 유튜브쇼츠
• 반려견룩북
• Kling.AI
• DALL·E활용
• 쇼츠콘텐츠
• 무편집영상
• 콘텐츠자동화
• 크리에이터툴
• 블로그수익화
• 영상편집초보
• 감성룩북
• 티스토리블로그

반응형